1365 ID - pico1212
봉사자의 활동이 사회에 끼치는 가치를 적극적으로 알리고, 명확한 역할을 부여해 책임감을 느끼게 하며,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해 개인 성장을 지원합니다. 또한, 봉사자의 의견을 경청하고 피드백을 통해 존중받는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방법이 있을 것 같습니다!
1365 ID - kbs741673
Q_자원 봉사자를 무임금 노동자로 대할때, 이를 개선하는 방법은?
A_가장 중요한 것은 사회적 이미지 개선이다. 1차적으로 교육을 통해 자원봉사자가 무임금 노동자가 아닌 사회에 기여하는 소중한 사람임을 알려야 하고, 자원봉사자 스스로가 불합리한 대우를 받을 때 적극적으로 이미지 개선을 위해 힘써야 한다.
1365아이디- gayeon10204
Q. 자원봉사자를 무임금 노동자로 대할 때, 이를 개선하는 방법
A. 1) 일단, 자원봉사자를 무임금 노동자로 대할 경우를 예방하기 위해 자원봉사의 담당자와 관계자들에게 적절한 교육을 시키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2) 그럼에도 자원봉사자를 무임금 노동자로 대했을 경우에는 자원봉사를 지원하는 포털사이트에 신고를 할 수 있게 하여 봉사의 담당자, 관계자들에게 적절한 처벌을 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1365아이디: carnival1234
자원봉사자를 무임금 노동자로 대하는 사람이 누구인가? 가 중요한데
1. 봉사자들의 관리를 맡은 사람이라면, 그 관리직을 맡기기 이전에 다른 단체에 가서 봉사자로 활동을 해보게 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봉사자의 마음을 이해 하게 되어 존중하는 마음을 가지게 될 것입니다.
2. 피봉사자나 제3자라면, 봉사활동 시작 전에 봉사단체나 지자체의 직원이 나와서 축하의 메세지나 감사장 전달 같은 행사를 미리 하여
봉사활동이 의미 있고 축하 할 일이 라고 분위기를 조성한다면 무시하지 못할것입니다.
1365 아이디 : h010hjk
자원봉사 기관으로서의 경고 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단순 자원 봉사가 특정 기관의 이윤을 남길 수 있는 활동으로 번지게 되면 이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봉사 활동에 대한 인식 악화가 발생할 수 있기에
이런 기관에 시정 조치 및 경고를 줌으로써 개선될 수 있어야 할 것 입니다.
1365 아이디 : gkswns103aa
공식적인 인식 시스템 도입: 봉사 시간이나 성과에 따라 자원봉사자들에게 공로를 인정하는 제도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원봉사 활동을 통해 봉사자가 일정 수준 이상의 활동을 했을 때 공식적인 인증서나 표창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활용하는것입니다.
1365아이디: sukmaestro03
봉사자는 개인의 의지와 시간을 써서 도움이 필요한 이들을 도와주는 자발적 사람들입니다. 만약 봉사주체 측에서 그들의 도움 이상의 것을 요구하여 봉사자들에게 해가되는 일을 하면, 이는 주체측의 명확한 잘못입니다. 대가 없이 도와주려는 순수한 마음을 이기적인 마음으로 짓밟는 것이기 때문이죠. 이를 막기위해선 주체측이 봉사자들에게 명확한 활동 내용을 제시하고 그에 해당하지 않는 일은 시키지 못하도록 규제해야합니다.
1. 명확한 역할과 기대치 설정: 자원봉사자들에게 그들의 역할, 책임, 기대치를 명확히 전달하여 역할이 정확히 이해되도록 합니다. 이는 자원봉사자가 자신의 기여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어떤 가치를 지니는지를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정기적인 피드백 제공: 자원봉사자들에게 정기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하여 그들의 노력이 어떻게 기여하는지, 어떤 부분에서 개선이 필요한지 알려줍니다. 이를 통해 자원봉사자는 자신의 업무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봉사활동에 대한 리뷰 및 피드백, 게시물 작성을 활성화하면 됩니다. 자원봉사란 본인의 의지로 타인을 위해 헌신하는 활동이기에 사명의식이 중요하지만 그 사명의식을 꺾이게 하는 행동은 막아야하기 때문에 리뷰 및 피드백을 활용하면 자원봉사자를 무임금 노동자로 대하는 행위를 줄일 수 있고, 봉사활동을 홍보하는 효과까지 가져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