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는 물질하는 제주 해녀입니다.
미술공부하는 대학생이고요.
해녀고기 흑돼지집에서 제주해녀와 제주 식문화를 알립니다.
해녀들의 안전한 물질을 위해서 바다 속 쓰레기를 건져올리는 자원봉사자입니다.
바닷속 쓰레기 건져 올리기는 위험이 따르며 전문성이 요구되는 분야입니다. 2024년 여름 테트라포트 사이에 낀 바다쓰레기를 빼내는 일을 하면서 많은 박수를 받았습니다. 해양 쓰레기가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 널리 알리고 경각심과 인식을 확산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udt자원 봉사다 바다 살리기 운동본부의 본부장 조상희 단장님과 수중,수변 활동 시작했습니다. 조상희 단장님은 사고로 인해 한쪽 팔을 잃으셨고, 사고에 대한 트라우마를 봉사를 통해 잊고자 현재까지 다양한 봉사활동을 하고 계시고 있습니다. 이렇게 건강한 나도 해양 환경정화를 하고 있자면 힘든데.. 몸이 불편하시지만 봉사활동에 꾸준히 참여 하는 모습을 보면 내 마음을 다 잡게 됩니다.
깊은 바다 속 정화 작업은 위험이 크기 때문에 협조 체계가 매우 촘촘합니다. 해양경찰과 전문 잠수 요원들이 적극적으로 도와주고 있으며, 무리하지 않고 할 수 있는 부분까지 하고 나머지는 주변의 도움을 받습니다.
기회가 있을 때마다 해양정화 활동에 참여하고 이와 관련된 강연을 진행하면서 해양쓰레기와 환경에 관한 것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고, 관련 지식과 전문성이 축적된다는 것을 체감하였습니다.
“이유정이랑 같이 청소하고 싶어”
“나 이분이랑 하면 뭔가 청소가 더 재밌어질 것 같다.”
좋은 분들과 만나 활동하면서 나를 인정하고 기억해주는 느낌이 큰 행복입니다.
수상은 보너스고요.
모아 둔 쓰레기를 해양 폐기물 차가 가져가는 모습을 보면서 팀의 일부라는 소속감이 생기고 지원군이 생겼다는 생각에 마음이 든든해져요. 동아시아 대표로 그린피스 다큐멘터리에 참여할 때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해양 쓰레기에 대한 관심이 많아질 수 있으니 마음이 설레고 뿌듯해요.
쓰레기를 건져 올리는 것은 대장정의 시작일 뿐입니다. 쓰레기가 순환하듯이 쓰레기 처리도 순환해야 하거든요. 쓰레기와 폐기물을 처리하는 일은 큰 고민입니다. 점점 쌓이는 쓰레기의 양 자체도 놀라울 정도여서 제주도가 쓰레기 섬이 되면 어쩌나 걱정이 깊어집니다. 쓰레기가 발생하고 쌓이고 흘러가고 처리되는 모든 과정에서 인식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지속적인 정화활동이 인식개선에 보탬이 되면 좋겠습니다.
바닷속 쓰레기 건져 올리기는 위험이 따르며 전문성이 요구되는 분야입니다. 2024년 여름 테트라포트 사이에 낀 바다쓰레기를 빼내는 일을 하면서 많은 박수를 받았습니다. 해양 쓰레기가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 널리 알리고 경각심과 인식을 확산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udt자원 봉사다 바다 살리기 운동본부의 본부장 조상희 단장님과 수중,수변 활동 시작했습니다. 조상희 단장님은 사고로 인해 한쪽 팔을 잃으셨고, 사고에 대한 트라우마를 봉사를 통해 잊고자 현재까지 다양한 봉사활동을 하고 계시고 있습니다. 이렇게 건강한 나도 해양 환경정화를 하고 있자면 힘든데.. 몸이 불편하시지만 봉사활동에 꾸준히 참여 하는 모습을 보면 내 마음을 다 잡게 됩니다.
깊은 바다 속 정화 작업은 위험이 크기 때문에 협조 체계가 매우 촘촘합니다. 해양경찰과 전문 잠수 요원들이 적극적으로 도와주고 있으며, 무리하지 않고 할 수 있는 부분까지 하고 나머지는 주변의 도움을 받습니다.
기회가 있을 때마다 해양정화 활동에 참여하고 이와 관련된 강연을 진행하면서 해양쓰레기와 환경에 관한 것들을 많이 공부하게 되었고, 관련 지식과 전문성이 축적된다는 것을 체감하였습니다.
“이유정이랑 같이 청소하고 싶어”
“나 이분이랑 하면 뭔가 청소가 더 재밌어질 것 같다.”
좋은 분들과 만나 활동하면서 나를 인정하고 기억해주는 느낌이 큰 행복입니다.
수상은 보너스고요.
모아 둔 쓰레기를 해양 폐기물 차가 가져가는 모습을 보면서 팀의 일부라는 소속감이 생기고 지원군이 생겼다는 생각에 마음이 든든해져요. 동아시아 대표로 그린피스 다큐멘터리에 참여할 때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해양 쓰레기에 대한 관심이 많아질 수 있으니 마음이 설레고 뿌듯해요.
쓰레기를 건져 올리는 것은 대장정의 시작일 뿐입니다. 쓰레기가 순환하듯이 쓰레기 처리도 순환해야 하거든요. 쓰레기와 폐기물을 처리하는 일은 큰 고민입니다. 점점 쌓이는 쓰레기의 양 자체도 놀라울 정도여서 제주도가 쓰레기 섬이 되면 어쩌나 걱정이 깊어집니다. 쓰레기가 발생하고 쌓이고 흘러가고 처리되는 모든 과정에서 인식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지속적인 정화활동이 인식개선에 보탬이 되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