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 제안하기


일상 속에서 소소하고 확실하게 행동할 수 있는 

자원봉사활동 아이디어를 제안해 주세요 !


아이디어 제안하기

소소하고 확실하게 행동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안해 주세요.


2024 시민아이디어제안[일상 속 15분] 나, 우리, 지구를 돕는 자원 봉사



1. 일상 속 실천(습관), 왜 필요할까요?

'봉사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작은 단위로 목표를 설정하면 이루기 쉽다는, 조직관리의 이론처럼 봉사 역시 목표가 클 경우 지속되기 쉽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상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작은 단위의 봉사가 습관화 되는 것이 봉사를 지속가능 할 수 있는 큰 힘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 어떤 '일상 속 자원봉사'를 생각했나요?

[나, 우리, 지구를 돕는 일상 속 환경 자원 봉사] 


일상에서 우리는 많은 것들을 구입합니다. 환경을 생각하며 구입을 하는 것을 일상 속 환경을 위한 자원봉사로 진행해보면 어떨까요? 

요즘 가장 많이 주목받는 여행과 일상에서 계속 구입하게 되는 식품과 관련하여 그 방법을 제안해봅니다. 


3. 그 행동을 하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면 되나요?


1. 여행 

: 여행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10을 차지한다는 내용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그렇다고 무조건 여행을 안하고 살 수는 없기에 지속가능한 여행을 할수 있는 작은 행동을 제안합니다. 

- 숙소를 예약하기 전 환경과 생물다양성 보호조치를 실천하고 있는 곳인지 확인하기 

- 탄소 배출량이 적은 항공권을 구입하기 (스카이스캐너랑 구글 항공으로 예상 탄소 배출량 수치 확인 할 수 있음) 

- 여행을 가기 전, 개인 세면도구와 텀블러를 챙겨 불필요한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2. 식품 

: 못난이 채소를 들어본적이 있나요? 겉모습이 이쁘지 않아서 한해 버려지는 농산물은 13억 톤에 이른다고 합니다. 식품을 구입하기 전 푸드 리퍼브 제품을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환경에 도움이 되는 작은 습관입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구입보다는 직접 물건을 구입하는 것이 탄소발자국을 줄이는 방법이죠. 


- 일주일치 필요한 식품을 정리하고, 온라인몰보다는 집 근처 마트나 재래시장을 통해 식료품 사기 

- 같은 채소라면 못난이 농산물 코너를 애용하기   

- 못생긴 농산물은 맛과 영양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개인 SNS을 통해 공유하기 


4. 이 행동들이 모이면 어떤 변화가 생길까요?

구입 전 잠깐 나의 소비가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생각을 하고, 탄소중립에 도움이 되는 구입이 모이면 

이전보다는 더 지속가능한 환경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나의 작은 실천이 주변사람들의 실천의 영향을 주는 좋은 모티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작은 변화가 모여 큰 변화를 만드는 것 처럼요. 


*2024 자원봉사 아이디어 제안 이벤트 중입니다. 

글 작성 후, 비밀댓글을 이용하여 성함, 핸드폰 번호를 남겨주세요.

우수 아이디어를 선정하여 온라인 상품권을 보내드립니다.




2 1



제주를 좀 더 아름답게 가꿔나가기 위해

내가 있는 자리에서 실천할 수 있는

소하지만 실한  제안해주세요!


제주를 좀 더 아름답게 가꿔나가기 위해

내가 있는 자리에서 실천할 수 있는

소하지만 실한  제안해주세요!